
프로그래밍에서 글자(텍스트)는 매우 중요한 정보입니다. 이름, 메시지, 설명 등 우리가 사용하는 대부분의 정보는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러한 글자 덩어리를 특별히 문자열(string)이라고 부릅니다.
파이썬에게 '이것은 글자야!'라고 알려주기 위해 사용하는 약속이 바로 따옴표입니다. 따옴표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파이썬으로 글자를 다루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며, 여러분이 원하는 문구나 정보를 화면에 출력하거나 저장하는 데 필수적인 첫걸음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파이썬에서 글자 덩어리, 즉 문자열을 만들 때 왜 따옴표가 필요한지, 그리고 어떤 따옴표를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 쉽고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에서 글자(문자열)는 어떻게 나타낼까요?
파이썬에서 글자 여러 개가 모인 것을 문자열(string)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안녕하세요", "Python", "12345" (숫자처럼 보이지만 따옴표 안에 있으면 글자 덩어리입니다) 같은 것들이 모두 문자열입니다.
파이썬에게 이것이 글자라고 알려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따옴표로 감싸야 합니다. 파이썬에서는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 둘 다 사용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것을 사용해도 대부분의 경우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문자열 만들기 예시 1: 큰따옴표(") 사용하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는 글자 덩어리를 큰따옴표(")로 감싸는 것입니다. print() 함수를 이용해 이 문자열을 화면에 출력해봅시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문자열 만들기 예시 2: 작은따옴표(') 사용하기
작은따옴표(')도 큰따옴표와 마찬가지로 문자열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결과는 동일합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넣고 싶다면?
문자열을 만들다 보면 글자 자체에 따옴표가 포함되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철수가 '안녕'이라고 말했다." 와 같은 문장을 파이썬으로 표현하고 싶을 때 말이죠. 이때는 문자열을 감싸는 따옴표와 문자열 안에 있는 따옴표의 종류를 다르게 해주면 됩니다.
만약 문자열 안에 작은따옴표(')가 있다면, 문자열 전체를 큰따옴표(")로 감싸면 됩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반대로 문자열 안에 큰따옴표(")가 있다면, 문자열 전체를 작은따옴표(')로 감싸면 됩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주의:
만약 문자열을 감싼 따옴표와 문자열 안에 있는 따옴표의 종류가 같다면 파이썬은 어디까지가 문자열인지 헷갈려 오류를 발생시킵니다.
예: print('철수는 '안녕'이라고 말했다.') 와 같이 사용하면 오류가 납니다.
핵심 : 파이썬에서 글자(문자열)를 나타낼 때는 반드시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로 감싸야 합니다. 문자열 안에 따옴표를 포함하려면, 문자열을 감싸는 따옴표와 다른 종류의 따옴표를 사용하세요.
마무리 요약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글자 덩어리인 문자열을 만드는 데 필요한 따옴표 사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작은따옴표(')와 큰따옴표(")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문자열 자체에 따옴표가 포함될 때는 바깥쪽과 안쪽의 따옴표 종류를 다르게 해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이 내용은 앞으로 파이썬으로 다양한 글자 정보를 다룰 때 계속해서 사용될 아주 중요한 기초입니다.
이번 강좌 내용에 대해 질문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다음 강좌에서는 이렇게 만든 문자열이나 숫자를 '변수'라는 이름표에 담아 저장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