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코딩을 하다 보면 컴퓨터에게 어떤 값(데이터)을 기억해달라고 요청해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이름을 기억하거나 계산 결과를 잠시 보관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변수입니다. 변수는 컴퓨터의 기억 공간에 이름표를 붙여 값을 저장하고, 필요할 때 그 이름으로 값을 다시 꺼내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마치 물건에 이름표를 붙여 상자에 넣어두는 것과 비슷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변수를 어떻게 만들고 값을 저장하며 사용하는지 기초부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변수를 이해하면 코드가 훨씬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변할 것입니다.
파이썬 변수란 무엇일까요?
변수(Variable)는 값을 저장하는 컴퓨터의 기억 공간에 붙이는 이름입니다. 이 이름표 덕분에 우리는 복잡한 기억 공간 주소 대신 사람이 알아보기 쉬운 이름을 사용하여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변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
- 값 재사용: 한 번 저장한 값을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코드 이해: 변수 이름만 보고도 그 변수에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지 짐작할 수 있어 코드를 읽기 쉬워집니다.
- 값 변경: 필요에 따라 변수에 저장된 값을 다른 값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을 '값 저장' 또는 '값 담기'라고 말하며, 파이썬에서는 등호(=) 기호를 사용합니다.
변수 만들기 및 값 저장하기 (숫자)
가장 먼저 숫자를 변수에 저장해 보겠습니다. 변수 이름(age), 등호(=), 저장할 값(10) 순서로 작성합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age' 변수에 저장된 값인 10이 출력됩니다.
변수 만들기 및 값 저장하기 (텍스트)
숫자뿐만 아니라 글자(문자열)도 변수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는 항상 따옴표(" 또는 ')로 감싸야 합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name' 변수에 저장된 텍스트 "김파이"가 출력됩니다.
변수에 저장된 값 사용하기
변수에 저장된 값은 필요할 때 변수 이름을 사용하여 꺼내 쓸 수 있습니다. print() 함수 안에서 변수 이름을 사용하거나, 변수끼리 계산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바나나 개수: 3
전체 과일 개수: 8
주의:
변수 이름을 정할 때는 몇 가지 규칙을 지켜야 합니다.
- 알파벳 문자 또는 언더스코어(_)로 시작해야 합니다.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습니다. (1name, 7days 등은 안 됩니다.)
- 알파벳 문자, 숫자, 언더스코어(_)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띄어쓰기, -, ! 등 특수문자는 안 됩니다.)
- 파이썬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단어(키워드)는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if, for, print 등)
- 대소문자를 구분합니다. (my_variable과 My_Variable은 다른 변수입니다.)
핵심 : 파이썬에서 변수는 값에 이름표를 붙여 저장하는 컴퓨터의 기억 공간입니다. 등호(=)를 사용하여 변수에 값을 저장하며, 변수 이름을 통해 저장된 값을 다시 불러와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요약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변수를 만들고 값을 저장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변수는 코드를 더 유연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드는 아주 중요한 개념입니다. 이제 여러분은 간단한 값에 이름표를 붙여 컴퓨터에게 기억시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파이썬이 다룰 수 있는 값의 종류, 즉 데이터 타입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숫자는 어떤 종류가 있고, 텍스트는 어떻게 구분하는지 등 값의 종류에 따라 파이썬이 어떻게 다루는지 배우게 될 것입니다.
변수 이름 규칙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직접 다양한 변수를 만들어 보세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