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비교 연산자 쉽게 이해하기 (>, <, ==)
세상에는 비교할 것들이 참 많습니다. 키, 나이, 점수... 컴퓨터 프로그램도 어떤 값들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지 비교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때 '비교 연산자'를 사용합니다. 비교 연산자는 두 개의 값이 같은지, 큰지, 작은지 등을 물어보고, 그 결과로 '맞다' (True) 또는 '틀리다' (False)를 알려주는 특별한 기호입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비교 연산자들인 > (크다), < (작다), == (같다)를 쉽고 재미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이 연산자들은 앞으로 우리가 배울 '조건문'에서 프로그램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을 내리는 기초가 됩니다.
비교 연산자란 무엇일까요?
비교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하여 참(True) 또는 거짓(False)이라는 결과를 알려주는 연산자입니다. 마치 수학에서 부등호(>, <)나 등호(=)를 사용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파이썬에서는 '같다'를 나타낼 때 = 하나가 아닌 == 두 개를 사용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비교 연산자 사용 예시 1: > (크다)
기호 >는 왼쪽에 있는 값이 오른쪽에 있는 값보다 '큰가?'라고 물어봅니다. 만약 크다면 True를, 크지 않다면 False를 알려줍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10은 5보다 크니까 결과는 True가, 3은 7보다 크지 않으니까 결과는 False가 나왔습니다.
비교 연산자 사용 예시 2: < (작다)
기호 <는 왼쪽에 있는 값이 오른쪽에 있는 값보다 '작은가?'라고 물어봅니다. 작으면 True를, 작지 않으면 False를 알려줍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5는 10보다 작으니까 True가, 7은 3보다 작지 않으니까 False가 나왔습니다.
비교 연산자 사용 예시 3: == (같다)
기호 ==는 왼쪽에 있는 값과 오른쪽에 있는 값이 '같은가?'라고 물어봅니다. 같으면 True를, 다르면 False를 알려줍니다. 숫자뿐만 아니라 글자("문자열")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8은 8과 같으니까 True가, 8은 5와 다르니까 False가 나왔습니다. "apple"과 "apple" 글자도 같으니까 True가 나왔습니다.
핵심 : 파이썬의 비교 연산자 >, <, ==는 두 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로 True 또는 False 값을 반환합니다.
주의:
파이썬에서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하는 = (할당 연산자)와 두 값이 '같은지' 비교할 때 사용하는 == (비교 연산자)는 완전히 다릅니다. = 대신 ==를, == 대신 =를 사용하면 예상치 못한 결과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요약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에서 두 값을 비교하는 기본적인 방법, 즉 비교 연산자 >, <, ==에 대해 배웠습니다. 이 연산자들은 비교 결과로 True 또는 False라는 값을 반환하며, 이 값이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이 True와 False 값을 활용하여 '만약에...' 와 같은 조건을 만들고,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를 실행하는 '조건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배운 비교 연산자를 직접 코드에 입력해서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질문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다음 강의에서는 조건문을 배워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