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여러 줄 출력 방법: print 함수로 깔끔하게 줄바꿈하기
파이썬으로 코딩을 하다 보면 화면에 단순한 메시지 한 줄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여러 줄에 걸쳐 긴 글이나 정보를 보여줘야 할 때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긴 설명 글이나 시처럼 여러 줄로 이루어진 텍스트를 출력하고 싶을 수 있죠.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의 print() 함수를 사용하여 텍스트에 '줄바꿈'을 넣거나, 여러 줄로 이루어진 글자 덩어리를 한 번에 출력하는 다양한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마치 편지를 쓸 때 필요한 부분에서 줄을 바꿔가며 쓰는 것과 같습니다. 이 방법을 알면 여러분이 만드는 프로그램의 출력 결과를 훨씬 보기 좋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줄바꿈 문자 '\n' 사용하기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방법은 바로 '개행 문자(Newline Character)'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파이썬에서는 \n 이라는 특별한 기호를 사용하면, 그 부분이 출력될 때 실제 화면에서는 줄이 바뀌게 됩니다. 마치 키보드의 Enter 키를 누르는 것과 같은 효과를 냅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줄이 바뀌어 출력됩니다.
하나의 print() 함수 안에서 \n을 여러 번 사용하면 원하는 만큼 줄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두 번째 줄이 비어 있는 상태로 출력됩니다.
따옴표 세 개(삼중 따옴표) 사용하기
긴 글이나 시처럼 여러 줄에 걸쳐서 쓰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따옴표 세 개(""" 또는 ''')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따옴표 세 개로 시작하고 따옴표 세 개로 끝나는 문자열은 그 안에 있는 줄바꿈과 공백까지 모두 포함해서 그대로 출력해줍니다.
코드를 실행하면 작성한 그대로 줄바꿈이 적용되어 출력됩니다.
삼중 따옴표는 코드 내에서 여러 줄의 설명을 쓸 때(이것을 'docstring'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만, 지금은 '여러 줄 주석'이라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렇게 여러 줄의 텍스트를 변수에 담거나 바로 출력할 때 매우 유용합니다.
print 함수 여러 번 사용하기 (기본 동작)
사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print() 함수를 여러 줄에 걸쳐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파이썬의 print() 함수는 기본적으로 내용을 출력한 후 자동으로 줄바꿈을 해주기 때문입니다.
각각의 print() 문장이 실행될 때마다 자동으로 줄이 바뀌어 출력됩니다.
중요:
파이썬의 print() 함수는 기본적으로 출력이 끝날 때마다 자동으로 줄바꿈(\n)을 추가합니다. 그래서 print() 함수를 여러 번 쓰는 것만으로도 여러 줄 출력이 가능합니다.
주의:
\n 문자를 사용할 때, 키보드의 엔터키 위에 있는 \ (백슬래시)를 사용해야 합니다. / (슬래시)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므로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핵심 : 파이썬에서 여러 줄을 출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문자열 안에 \n (개행 문자)를 넣어 줄바꿈하기.
2. 여러 줄에 걸친 긴 텍스트는 """ 또는 ''' (삼중 따옴표)로 감싸기.
3. 가장 간단하게는 print() 함수를 여러 번 사용하는 것 (print 함수는 기본적으로 자동 줄바꿈).
마무리 요약
이번 강의에서는 파이썬 print() 함수를 활용하여 여러 줄로 텍스트를 출력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n 문자나 삼중 따옴표를 사용하면 복잡하거나 긴 내용도 원하는 형태로 깔끔하게 출력할 수 있습니다. 화면에 정보를 보여주는 것은 코딩의 기본 중 기본이니, 오늘 배운 내용을 꼭 기억하고 연습해보세요. 다음 강의에서는 파이썬의 '변수' 개념에 대해 배우고, 값에 이름을 붙여 편리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오늘 배운 코드를 직접 실행해보세요! 궁금한 점은 댓글로 질문해주시면 답변해 드립니다.
다음 강의에서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