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썬 입력 받기 - input으로 내 정보 받기
안녕하세요! 이전 강의에서 파이썬에게 명령하여 글자를 화면에 보여주는 print() 함수를 배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반대로,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
사용자에게 정보를 입력받는 것은 마치 컴퓨터 프로그램이 우리에게 질문을 하고, 우리가 대답을 해주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받아야만 프로그램을 더 똑똑하고, 사용자와 대화하는 것처럼 만들 수 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이 역할을 input() 함수가 담당합니다. 이 강의를 통해 여러분의 이름, 나이 등의 정보를 프로그램에 직접 입력하고 활용하는 기초를 다지게 될 것입니다.
input 함수란 무엇일까요?
input() 함수는 프로그램이 잠시 멈춰서 사용자가 키보드로 무엇인가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를 때까지 기다리게 합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그 내용을 프로그램이 사용할 수 있도록 '돌려줍니다'.
예를 들어, input("이름이 무엇인가요? ") 라고 쓰면, 프로그램은 화면에 "이름이 무엇인가요? " 라고 보여주고, 우리가 이름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르면 그 이름 값을 프로그램이 받게 됩니다.
마치 선생님이 학생에게 질문하고 학생이 대답하는 것처럼, 프로그램과 사용자가 소통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input 함수 사용 예시 1: 이름을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기
input() 함수로 사용자에게 이름을 입력받아, 그 이름을 'name'이라는 변수(값을 담는 상자)에 저장하고, 저장된 이름을 다시 print() 함수로 출력하는 코드입니다. input() 괄호 안에 쓰는 글자는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안내 메시지'입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고 '홍길동'이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홍길동 님!
input 함수 사용 예시 2: 숫자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출력하기 (주의!)
input() 함수는 사용자가 숫자를 입력하더라도 그것을 '숫자'로 인식하지 않고, '글자'(문자열)로 가져옵니다. 이 점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 예제는 나이를 입력받아 출력하지만, 이 age 변수는 실제 '숫자'가 아니라 '숫자처럼 보이는 글자'입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고 '10'이라고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입력하신 나이는 10 살 입니다.
input 함수 사용 예시 3: 여러 정보 입력받아 함께 사용하기
이번에는 이름과 나이, 두 가지 정보를 차례대로 입력받아 하나의 문장으로 출력해봅시다. input() 함수를 여러 번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위 코드를 실행하고 이름과 나이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당신의 나이는 몇 살인가요? 25
안녕하세요, 김철수 님! 당신은 25 살 이시군요.
핵심:
input() 함수는 사용자로부터 글자(텍스트)를 입력받습니다. 입력받은 내용은 항상 '문자열' 형태로 프로그램에 전달됩니다.
주의:
input() 함수가 돌려주는 값은 사용자가 무엇을 입력하든 항상 '문자열'(텍스트)입니다. 만약 숫자를 입력받아 덧셈이나 뺄셈 같은 계산을 하고 싶다면, 입력받은 문자열을 진짜 숫자로 바꾸는 '형변환'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내용은 다음 강의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입니다.
마무리 요약
이번 시간에는 파이썬의 input() 함수를 사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input() 함수는 프로그램을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게 만드는 중요한 도구이며, 여러분이 만드는 프로그램에 '대화' 기능을 넣을 수 있게 해줍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input() 함수가 돌려주는 값은 항상 '문자열'이라는 점입니다. 숫자로 사용하려면 추가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기억해두세요. 다음 강의에서는 변수(값을 담는 상자)에 대해 더 깊이 배우고, 입력받은 값을 어떻게 변수에 저장하고 활용하는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질문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
다음 강의에서는 변수를 더 자세히 배워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