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이썬 len 함수 사용법: 글자 수 세기, 길이 구하기

by chapter21 2025. 5. 13.
파이썬 len 함수 사용법: 글자 수 세기, 길이 구하기
파이썬 len 함수 사용법: 글자 수 세기, 길이 구하기

파이썬 len 함수 사용법: 글자 수 세기, 길이 구하기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글자가 몇 개인지 세거나 어떤 목록에 물건이 몇 개 들어있는지 알아야 할 때가 많습니다. 마치 연필꽂이에 연필이 몇 개 있는지 세거나, 가방에 책이 몇 권 들어있는지 세는 것과 같습니다. 이럴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되는 것이 바로 파이썬의 len() 함수입니다.

len() 함수를 사용하면 '길이'를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 len() 함수로 글자 수를 세는 방법을 집중적으로 배워보겠습니다. 아주 간단하지만, 파이썬으로 다양한 작업을 할 때 꼭 필요한 기능이니 잘 익혀두시기 바랍니다.

len 함수란 무엇일까요?

len() 함수는 파이썬에서 어떤 '객체'의 길이나 항목(item)의 개수를 알려주는 함수입니다. 여기서 '객체'란 글자들의 덩어리(문자열), 여러 물건을 담는 목록(리스트), 또는 다른 종류의 데이터 묶음 등을 말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글자들의 덩어리', 즉 문자열의 길이를 세는 데 len() 함수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글자 수를 세는 것은 생각보다 자주 필요한 작업입니다.

len 함수 사용 예시 1: 간단한 문자열 글자 수 세기

가장 기본적인 사용법은 len() 함수 괄호 안에 글자들의 덩어리(문자열)를 직접 넣어주는 것입니다. 문자열은 항상 따옴표 (" 또는 ')로 감싸야 합니다. len() 함수는 그 안에 있는 문자열의 글자 수를 세어서 숫자로 돌려줍니다.

Python
# "파이썬" 이라는 단어의 글자 수를 세어봅시다. length = len("파이썬") print(length)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출력 결과
3

"파이썬"은 세 글자이므로 len() 함수는 3을 돌려줍니다. 이 값을 length라는 이름의 '상자'에 저장하고(할당하고) 그 내용을 화면에 출력한 것입니다.

len 함수 사용 예시 2: 공백과 특수 문자 포함하여 글자 수 세기

len() 함수는 눈에 보이는 글자뿐만 아니라 글자 사이의 '공백'이나 느낌표, 쉼표 같은 '특수 문자'도 모두 하나의 글자로 세어줍니다. 마치 공백도 칸을 차지하므로 세어야 하는 것과 같습니다.

Python
# 공백과 느낌표가 포함된 문장의 글자 수를 세어봅시다. sentence = "Python is easy!" sentence_length = len(sentence) print(sentence_length)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출력 결과
15

"Python is easy!"는 P(1), y(2), t(3), h(4), o(5), n(6), 공백(7), i(8), s(9), 공백(10), e(11), a(12), s(13), y(14), !(15) 로 총 15개의 글자(문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공백과 특수 문자도 정확히 세어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len 함수 사용 예시 3: 빈 문자열과 다른 값의 길이

만약 아무 글자도 없는 빈 문자열("" 또는 '')의 길이를 세면 어떻게 될까요? 당연히 글자가 없으니 0이 됩니다.

Python
# 빈 문자열의 길이를 세어봅시다. empty = "" empty_length = len(empty) print(empty_length)

위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화면에 나타납니다.

출력 결과
0

len() 함수는 주로 여러 개의 항목을 담고 있는 데이터에 사용됩니다. 문자열처럼 여러 글자를 담고 있거나, 앞으로 배우게 될 리스트(여러 물건 목록), 튜플, 딕셔너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숫자 하나(예: 123)나 참/거짓 값(True, False) 같이 묶음이 아닌 하나의 값에는 직접 사용할 수 없습니다.

주의:

len() 함수는 하나의 숫자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만약 len(123) 처럼 실행하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숫자의 '글자 수'를 세고 싶다면 숫자를 먼저 문자열로 바꾼 후 len() 함수를 사용해야 합니다 (예: len(str(123))).

핵심 : len() 함수는 문자열이나 여러 항목을 가진 데이터의 '길이'나 '개수'를 숫자로 알려줍니다. 문자열의 경우 공백과 특수 문자를 포함한 모든 글자의 수를 셉니다.

마무리 요약

이번 강의에서는 파이썬의 len()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글자 수를 세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len() 함수는 문자열뿐만 아니라 앞으로 배우게 될 리스트 등 다양한 데이터의 길이를 알아내는 데 필수적인 함수입니다. 글자 수나 항목의 개수를 아는 것은 조건문이나 반복문 등에서 특정 작업을 수행할지 말지를 결정하거나 몇 번 반복할지를 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 코딩이 잘 되었는지 터미널 출력 결과도 꼭 확인하세요.

질문이 있다면 댓글에 남겨주세요.